일제강점기 일제 치하 일본의 한반도 조선인 교육에 대한 진실(보통 교육)

 

일제 시대 교육을 검색하면 흔히 나오는 자료들

요약하면 일제때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평등한 교육의 기회가

확대 되었다라는 내용이다.

그 외에도

 

이런 통계 자료 라던지

(통계청 홈페이지 가면 떡하니 나와 있는 자료가 뭐가 알아서는 안될 진실인지 모르겠다)

흐음 문재인씨 같은 586 반일종북 대깨문들 부들부들 대발작 일으킬까봐 그러는건가?

 

나는 대단히 가난한 농촌의 자녀로 학교에 다닐수 없었는데

일본인이 와 의무 교육을 받지 않으면 부모가 처벌 받는다고 명령해 학교에

가게 됐다. 그리고 성적이 좋자 일본인 선생이 사범 학교에 가라고 권했고

그후 군관 학교를 거쳐 도쿄의 육군 사관학교에 진학해 수석으로 졸업할수

있었다. 일본의 교육은 대단히 공평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결정타로 박정희 전 대통령의 발언이라는 이 짤까지 돌아다니면서 

일제는 악랄하지만 그래도 교육은 합리적이고 평등하게 했지

하는 인터넷 여론이 있는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일제 치하 조선의 교육의 진짜 모습은 어떤 것일까?

 

우선 1910년 강제 한일 합병 이전의 조선 교육을 확인해보면

 

일제의 조선병탄 직전의 조선인 보통교육

 

한일 합방 직전에는 2146개의 보통 학교에 10만명이 넘는 조선인 학생들이

제적하고 있고

 

서울을 중심으로 상공업 및 실업 학교의 경쟁률이 높게 나타나며

 

학부모의 신분중 절반 이상이 상민이고 농업자 상업자의 비중이 큰것을

알수 있다

 

즉 한일 합방 전의 조선 교육은

 

1. 보통 학교 학생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었으며

2. 유교 문화에서 비롯된 뿌리깊은 조선의 상공업 천시 풍조가 흐려지고 있었고

3. 특권층의 교육이 아닌 대중 교육의 모습을 보였다

 

본격적인 근대 교육이 시작된지 불과 5년여 만에 보통 학교 학생수가

10만명으로 증가한것으로 보아 근대 교육에 대한 관심과 높은 교육열의 전조가

관측 되지만 10만명이라는 숫자는 이 당시 조선 인구 2천만을 감안하면 보통 교육이라고

부르기에는 매우 부족한 숫자이다. 한편 한일 합방 이후 1911년 일제는 1차 조선 교육령을

반포 한다.

 

조선 총독부 초대 조선 총독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内正毅 (てらうち まさたけ))

 

일제의 공립 학교는 근대적인 교육 기관이었으나 그 목적이 일본어의 보급과 일본 국민 양성임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반발을 샀고

 

2조: 교육은 [교육에 관한 칙어] 의 취지에 기초 하여 충량한 국민을 기르는 본의로 한다.

3조: 교육은 시세와 민도에 맞도록 베푼다.

5조: 교육은 보통의 지식, 기능을 가르쳐주고 특히 국민된 성격의 함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8조: 보통 학교는 ... 국어(일본어) 를 가르치며 덕육을 베풀어 국민된 성격을 양성하고 고등 교육중 대학교는

아예 편제에 포함 시키지도 않았으며 전문 학교는 신설이 아닌 기존의 학교를 승격하는 식이었고

경성 전수학교-> 경성 법학 전문 학교, 경성 의학교-> 경성 의학 전문 학교

공업 전습소-> 경성 공업 전문 학교, 농림 학교-> 수원 농림 전문 학교

 

4조: 교육은 이를 크게 나누어 보통 교육, 실업 교육 및 전문 교육으로 한다.

학교의 연한, 편제, 명칭 등에서 조선인 학교와 일본인 학교를 대놓고 차별해

9조: 보통 학교의 수업 연한은 4년으로 한다. 단 지방 실정에 따라 1년을 단축할수 있다.

 

보통학교와 서당의 조선인 재학생수

 

1922년 까지도 조선인들 사이에서는 보통 학교 재학 보다는

서당에서 신 학문을 배우는 식의 교육이 만연하게 된다.

그러나 1919년 있었던 조선인들의 3.1 독립 만세 운동을 기점으로

일제의 문화 통치가 시작 되고

 

조선 총독부 3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さいとう まこと))

 

조선인들 사이에서도 근대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됨에 따라

 

만약 우리도 삼십여년간을 조선인 전부를 총동원해 신학문을 배우기 시작했으면

그간에 학자 여럿이 났을 것이다. 조선에 학자가 나지 못하고 신교육의 효과가

현저하지 아니함은 우리의 다수가 신교육을 받지 못하고 소수만이 신교육을 배우고

있는 까닭이라는 말이다

 

- 1921. 05. 09 동아일보 -

 

(서당의 쇠퇴에는 이 외에도 일제의 서당령(1918) 도 큰 영향을 끼쳤다)

 

1922년을 기점으로 보통학교의 우세가 시작되며

보통학교는 독보적인 초등 교육기관으로 자리 매김 하게 된다.

이후 1930년대에는 만주 사변(1931), 일본의 국제 연맹 탈퇴(1933)

중일 전쟁(1937), 태평양 전쟁(1941) 을 거치며

 

일제는 교육을 통한 군국주의 이데올로기 주입을 계획했고

 

이에 따라 그간 별 관심이 없던

보통학교의 보급에 힘쓴다.

(1면 1교 정책)

 

표에서도 1932년을 기점으로 이후의 증가폭이 확연히 높은 것이 확인된다

준 전시 상황에서 이루어진 군국주의식 교육은

 

3차 조선교육령(1938): 황국 신민 서사 암송, 조선어 선택제

 

4차 조선교육령(1943): 조선어 폐지, 교육 연한 단축, 학도대 편성

 

하여튼 전쟁은 결국 일제의 패망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일제 강점기 조선의 취학 규모

보통학교, 서당, 사립 학교 및 간이 학교

일제 시대 내내 보통학교 학생수는 증가 추세에 있었다.

(3만명→ 177만명)

 

이상이 일제 교육 평등론을 내세우는 사람들의 주요 논거이다.

그렇다면 보통학교 학생수의 증가는 정말 일제의 교육 정책 덕분이었을까?

일제 치하 보통 교육의 확대는 일제의 적극적인 교육 정책 덕분이라기 보단

조선인의 높은 교육열이 빚어낸 교육 수요 증가 때문이었다.

 

학교 수는 계속 늘어나는데

 

(경쟁률은 상업, 농업 > 공업 > 고등 보통 순으로, 상공업 중시 풍조를 알 수 있다)

입학 경쟁률이 증가세에 있다는 것은 교육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함을 보여주며

 

보통학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보통학교 입시가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입학 지원자(入學志願者) 는 격증(激增) 하야가 되 교육 시설(敎育施設) 은 이에 따르지

못하야 입학 경쟁률(入學競爭率) 이 점점(漸漸) 상향(上向) 되게 되어 이때부터 온갓

교육 부문(敎育部門) 의 교육 시설(敎育施設) 의 확립(擴立) 이 요구(要求) 되었다.

 

이때 전 조선(全朝鮮) 의 초등학교(初等學校)- 당시(當時) 보통학교(普通學校) 급수(級數) 는

500개교(個校) 밖에 안되고 생도 총수(生徒總數) 는 10만명(萬名) 내외(內外) 에 지내지

못하였다.... (중략) ... 현재(現在) 는 관공사립(官公私立) 을 통(通) 하야 소학교 수(小學校數) 가

3000여교(餘校) 에 121만(萬) 8377명(名) 에 취학(就學) 하고 있다.

 

그래도 지원 아동(志願兒童) 도 다 수용(收容) 하지 못하는 관계(關係) 로

의무 교육(義務敎育) 의 실시(實施) 가 긴급(緊急) 하게 되었으며 벌서

국민학교(國民學校) 제도 채용(制度採用) 의 단계(段階) 에 드러섰다. 이같이 

20년간(年間) 에 소학교(小學校) 취학 아동(就學兒童) 은 10배(倍) 이상(以上) 으로

증가(增加) 되었것만 그대로 전 취학(全就學) 적령 아동(適齡兒童) 의 3할여(割餘) 밖에

수용(收容) 하지 못한터이므로 교육 시설(敎育施設) 에 한(限) 에 학무당국(學務當局) 의

노력(努力) 과 일반(一般) 의 열성(熱誠) 으로 명일(明日) 의 새로운 계획(計劃)

더 요구(要求) 되고있다.

 

 

 

입학 지원자는 격증하는데 교육시설은 이에 따르지 못하여

사립을 통틀어 소학교수는 3000여개에 121만 8377명이 취학하고 있다

그래도 지원아동을 다 수용하지 못하는 관계로 의무교육의 실시가 긴급하게 되었으며....

이같이 20년간에 소학교 취학아동은 10배 이상으로 증가되었건만, 그대로 전취학 적령

아동의 3할여밖에 수용하지 못한터로 교육 시설에 한해 학무 당국의 노력과 일반의 열성으로

내일의 새로운 계획이 요구되고 있다

 

- 1940년 4월 1일, 동아일보 -

 

이러한 '조선인의 교육열' 이 주도하는 교육 증가는

고등교육으로 갈수록 두드러지는데

 

조선인 유학생은 끊임없이 증가하는데 관비 유학생의 비율이 계속 줄어든다는 것은,

본인이 비용을 부담하는 사비 유학생이 날로 늘어났음을 보여준다.

 

글쎄 무슨 일이고 돈이 문제가 아니오. 지금 경성에는 13군데나 되는 보통학교가 있소.

모두 지은 지 10년 이상 되어서 시설이 몹시 낡고 협소하오. 이것만 개축하려 해도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오....

 

아무래도 어느 곳에서든지 빚을 내어오지 않으면 안 될 것이오. 우선 빚을 내어 쓰다면

납세자인 부민이 분발해 갚아야만 할 것이오. 취학 아동에게 시험을 보게 한 것도

교실이 부족하여 별 수 없이 그리된 것이오. 부족한 교실을 늘리려면 아무래도

여러분이 분발하여 당국자와 힘을 합치지 않으면 안 될 것이오.

 

가혹한 초등학교 입시로 자살사건이 끊이질 않자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동아일보 기자에게 당시 경성 부윤(서울시장) 사이토 레이조는 돈이 없어

못 짓는다 빚을 내어 지을테니 시민이 갚아라 입시경쟁은 교실이 부족한 것이니

너희가 분발하여 늘려라라며 무책임한 말을 던진다.

 

즉, 일제 치하의 조선 교육은 어떻게서든 더 공부하고 싶은 조선인과

그에 미치지 못하는 일제의 학교 공급간의 대립인 것이다

그러므로 보통학교 학생 수의 급격한 증가는

교육을 갈망하던 조선인의 욕구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하며

 

무상 교육에 학용품까지 지원했던 1910년대나

국가 정책으로 강력한 보통학교 보급을 펼친 1930년대보다

1922년을 전후로 학생수의 증가폭이 더 큰 것은 학생수의 증가가 일제의 교육 정책이

아닌 조선인의 교육 수요 때문이란 것을 증명한다 조선인의 높은 교육열에 비해

조선인에게 허락된 교육의 공간은 턱없이 부족했다

 

조선 땅에 지어놓은 고등교육 기관에는

일본인 비중이 70%에 육박했으며

 

조선인의 불취학률은 86%

중학교 졸업 이상인 조선인은 전인구의 1%

전문학교/ 대학교 이상은 전인구의 0.1%도 되지 않는다.

 

어떤 식으로든 교육을 받은 인원은 전 인구의 14%

조선땅에 살고 있는 2.6%의 일본인이 가진 학력이

97.4%의 조선인이 가진 학력보다 높았던 것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 내 보통학교 취학률

 

조선인의 보통학교(초등학교) 취학률은 평균 20%이며

가장 높았을 때도 64%로 1915년의 일본인 취학률 91.5%

2/3 에 불과하다. 조선인의 취학률은 일본인은 커녕 대만인에게도 못 미쳤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의 문맹률

 

문맹률은 80%에 달했다.

일제의 교육정책은 결코 합리적이거나 평등하지 않았으며

조선인의 교육에 대한 열망을 억누르고 있었고 조선의 교육 수준이 낮은 이유는 

일제의 주장처럼 민도가 낮고 게을러서가 아니라 일제의 교육 자체가 조선인의 교육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는 수준에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선의 암울한 교육 현실을 단칼에 해결한 것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이었다.

 

일제에게 억압받던 조선인의 교육열은

 

이승만의 집권기간 동안

 

해방 전후 남한의 교육

 

해방 이후의 혼란기에도 불과 2년만에

초등 교육 기관은 학생수 59%, 교사수 134% 증가

중등 교육 기관은 학생수 100%, 교사수 415% 증가

고등 교육 기관은 학생수 466%, 교사수 318% 증가

 

80%에 육박하던 조선인(한국인) 문맹률은

이승만 대통령의 적극적인 교육정책과 함께

10%대로 떨어졌고 (내무부 조사 13.7%, 문교부 조사 4.1%)

 

 

초등학교 취학률은 96%에 달했으며

 

 

최초로 초등학교 의무교육이 실시되어 진정한 보통 교육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따라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말했다는 일제시대 교육 평등론은

 

 

일제의 의무교육 계획: 1946년 (패망으로 시행불가)

박정희 대통령 친일파 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좌파쪽 누군가가 지어낸 근거 없는 헛소리로 보이며

 

저 헛소리의 출처로 가장 의심받는게

일본 내 막말 제조기로 한국인들이 평가하고 있는

이시하라 신타로 전 도쿄 도지사가 내가 박정희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 라고

신문과 인터뷰한 것인데

 

私は貧農の息子で、?校に行きたいなと思っても行けなかった。

日本人がやってきて義務?育の制度を敷いて子供を?校に送らない親は?罰するといった。

日本人にしかられるからというんで?校に行けた。

その後、師範?校、軍官?校に進み、そこの日本人?官が、お前よくできるな。

日本の市谷の士官?校に推薦するから行けといって入?。首席で卒業し、

言葉も完璧でなかったかもしれないが、生徒を代表して答?を?んだ。

私はこのことを非常に多とする。

相?的に白人がやった植民地支配に比べて日本は?育ひとつとってみても、かなり公平な、

水準の高い政策をやったと思う

 

나는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서 학교에 가고 싶어도 갈수 없었지. 일본인이 행한 의무 교육 제도에 따라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부모는 처벌한다고 했지 일본인에게 혼난다고 하니까 학교에 갈수 있었어

그 뒤에 사범 학교, 군관 학교에 갔고 그곳의 일본인 교관이 넌 기특하구나 라고 말한뒤 일본 시부야 사관학교에

추천 해준다고 해서 그곳으로 입학 수석으로 졸업했고 말은 완벽하지 않았을지 몰라도 학생을 대표해서 답사를

읽었어 나는 이것을 높이 평가 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백인이 행한 식민지 지배에 비해 일본은

교육 하나에도 꽤나 공평하고 수준 높은 정책을 행했다고 생각해

 

기본적인 사항도 전혀 맞지 않는 심각한 망언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시부야 사관 학교가 아닌 관동 자마에 위치한 사관학교를 다녔으며, 만주군관학교 졸업식때

우등생으로 은사상은 받은 적이 있지만 만주 육사도 일본 육사도 졸업식 답사를 한 적은 없으며

박정희의 일본 육사 성적은 수석이 아닌 전체 3등 졸업이다

돈이 없어 초등학교를 못 짓겠다던 일제와

 

6.25 한국전쟁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잿더미 밖에 남지 않은 이 땅에서

초등학교 취학률을 96%까지 끌어올린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취학률 현황

 

불과 50여년만에 달성한 대한민국의 완전 취학은 이승만 시대에서 시작되며

전국민의 80%가 문맹 상태로 농사를 짓는 전근대 농업 국가에서

 

대한민국 직업별 인구구성

 

1949년 전체 인구의 78.8%가 농업에 종사. 일본의 1887년 산업별 인구 구성과 비슷한 수준

문맹률 1% 대의 공업국가로 발돋움한 것은

 

대한민국(우리나라) 성인 비문해율

 

대한민국 건국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할 나라

북한 반란군이 더 정통성이 있다고 믿는

더불어민주당이나 문재인씨 같은 사람들 386(586) 좌파 종북친중 반미반일

세력들에 의해

 

이승만의 교육 혁명은 폄하되고 있으며

박정희 또한 친일파라는 일방적인 폄하와 누명 속에만 갇혀 있다.

그저 안타까운 현실일뿐

 

4줄 요약

 

1. 일제 강점기 시기 식민지 조선의 교육열은 대단히 높았다.

2. 일제의 조선인 교육정책은 교육 수요에 부합하지 못했으며 민족 차별적이었다.

3. 이승만 대통령의 교육정책이 오늘날 자유 대한민국의 토대가 되었다

가히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이라 할만 하다.

4. 산업화 세대가 남긴 유산은 지들끼리만 혼자 다 처먹고 민주화 팔이만으로

평생을 호의호식하지만 세계 최악의 인권 탄압 집단 중국 공산당과 북한에게는

찍소리도 못하는 소위 말하는 대한민국의 민주화 세력에 의해 이승만 박정희 두 전직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폄하당하고만 있는데 언젠가 꼭 재평가 받을 날이 오기를 기약해 본다.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